영화 [서울의 봄] 출연진 줄거리 관람후기 까지!
영화 소개
1979년 12월 12일, 수도 서울 군사반란 발생 그날, 대한민국의 운명이 바뀌었다 대한민국을 뒤흔든 10월 26일 이후, 서울에 새로운 바람이 불어온 것도 잠시 12월 12일, 보안사령관 전두광이 반란을 일으키고 군 내 사조직을 총동원하여 최전선의 전방부대까지 서울로 불러들인다. 권력에 눈이 먼 전두광의 반란군과 이에 맞선 수도경비사령관 이태신을 비롯한 진압군 사이, 일촉즉발의 9시간이 흘러가는데… 목숨을 건 두 세력의 팽팽한 대립 오늘 밤, 대한민국 수도에서 가장 치열한 전쟁이 펼쳐진다!
출연진 정보
황정민, 정우성, 이성민, 박해준, 김성균, 김의성, 정동환, 안내상, 유성주, 최병모, 박훈 등
개봉시기
2023년 11월
영화 줄거리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김동규(차건우 / 모티브 김재규)'의 총에 맞아 서거한 이후,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이 된 '정상호(이성민 / 모티브 정승화 대장)'는 마치 대통령이라도 된 듯 설치고 다니는 '전두광(황정민 / 모티브 전두환)' 국군보안사령관 겸 합동수사본부장 덕분에 고민이 많다.
그래서 정치에 관심이 없는 '이태신(정우성 / 모티브 장태완 소장)' 을 수도경비사령관 자리에 앉히려고 함.
정말 정치에 1도 관심이 없던 이태신은 극구 수경사 사령관 자리를 마다하지만, 전두광과 하나회 패거리를 견제하기 위해선 당신밖에 없다는 정상호의 당부에 결국 사령관직을 수락하게 된다.
한편 전두광은 절친인 '노태건(박해준 / 모티브 노태우 소장)' 제 9 보병사단장과 하나회 선후배를 불러 모아 쿠데타를 도모함.
눈엣가시인 정상호 참모총장이 대통령이 죽던 자리에 있었고 김동규와 연이 닿아있지 않다는 보장이 없다는 걸 볼모로, 재보궐선거로 선출된 새 대통령인 '최한규(정동환 / 모티브 최규하)'에게 재수사 재가를 받는 걸로 작전을 시작하자 말한다.
하나회인 제 1군단장 '한영구(안내상 / 황영시 중장)'와 국방부 군수차관보 '배송학(염동헌 / 유학성 중장)', '현치성(전진기 / 차규헌 중장)' 수도군단장, 그리고 '도희철(최병모 / 박희도 준장)' 제 2공수특전여단장과 '김창세(김성오 / 최세장 준장)' 제4공수특전여단장 등이 전두광의 위험한 작전에 동참하기로 함.
'너는 나고, 내가 너다', '우리는 하나다'를 울부짖던 하나회는 군 수뇌부 곳곳에 비밀리에 곰팡이 처럼 퍼져 있었다. 누가 그 그룹에 속해있는지 제대로 솎아내기도 힘든 지경.
하지만 최한규 대통령은 김동규건은 이미 수사가 끝난 사건이라 총장을 수사하라는 재가를 내주지 않게 된다.
'생일 집 잔치'라 작전명을 붙인 쿠데타는 자신들 라인이 아닌 이태신과 '김준엽(김성균 / 김진기 준장)' 육군본부 헌병감, '공수혁(정만식 / 정병주 소장)' 육군특수전사령관을 비밀 요정집에 집결시켜 술 한잔 대접한답시고 그들은 잠시 한눈팔게 만들었다.
오지않는 전두광을 기다리며 술집에서 한 잔 기울이고 있던 세 사람은 참모총장이 불법 체포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수도경비사령부로 급히 달려간다.
'민성배(유성주 / 윤성민 중장)' 육군참모차장은 대치상황에 놓인 아군들끼리의 충돌을 두고 사령관인 이태신을 힐난하지만 이내 사태가 정상적인 범위가 아니라는 걸 깨닫는다.
전두광은 선후배들의 군 세력을 총동원해서 국방부와 필동 수경사, 중앙청 등을 장악하려 하고, 이태신은 최후의 방어선인 행주대교에 직접 나가 공수여단이 밀고 들어오는 걸 막아본다.
중앙청으로 이어져 있는 거의 모든 한강 다리를 국민들과 자신의 세력으로 가까스로 막은 이태신.
진압군 세력의 모든 통신망을 장악하고 있던 하나회 '문일평(박훈 / 허화평 대령)' 국군보안사령관 비서실장의 보좌로 언제나 한 발 더 앞서있던 반란군.
이 사령관은 최후의 작전으로 제 8공수특전여단장인 '박기홍(정형석 / 윤흥기 준장)'에게 야포를 조준하라 명령함. 서울을 불바다로 만들거냐며 으르렁대는 전두광에게 이태신은 최후까지 거세게 반항한다.
하지만 사태 후 겁이난 나머지 미8군 사령부에 숨어있던 '오국상(김의성 / 노재현)' 국방부 장관이 하나회에 붙잡혀(?), 실시간으로 이사령관을 직위해제 해버린다.
어떻게든 전장군의 쿠데타를 저지하려 혼자 힘으로 바리케이트도 뛰어넘고 앞으로 전진하던 주인공은, 야밤에 자신을 따라온 100여 명의 부하들의 목숨과 근처에서 지켜보던 시민들의 안전을 택하게 된다.
그렇게 전두광과 하나회는 혁명에 성공하여 대대로 꿀을 쪽쪽 빨아먹었다는 후일담을 끝으로 영화 서울의 봄은 결말을 맞는다.
영화 후기
실패하면 반역! 성공하면 혁명 아입니까?!!
오래도록 기억에 남는 명대사를 남긴 영화 서울의 봄은 작품에 등장하는 거의 모든 배우가 압도적인 연기력을 보여주지만, 특히 이태신역을 맡은 정우성의 연기력이 빛난다.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한 실화 모티브 작품이라 작품성, 연출, 줄거리 모두 훌륭하지만 추운 날씨에도 딕션이 뭉개지지 않고 치밀어오르는 분노를 삼켜가며 외로운 싸움을 해가는 모습이 가히 정우성의 인생작품 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
실제주인공을 기반으로 독특한 민머리 분장을 한 황정민의 연기는 긴 설명을 하지 않아도 영화를 본 관객이라면 같은 느낌을 느끼지 않았을까 싶다.
특별출연으로 등장해 자신의 존재감을 확실히 뽐낸 정만식, 정해인, 이준혁도 좋았다.
영화에는 숨은 뜻을 내포하고 있는 것들이 꽤 있는데, 그중에 제목의 뜻은 민주화 운동이 일어난 1979년 10월 26일부터 1980년 5월 17일 사이를 일컫는 말(1968년 체코슬로바키아의 프라하의 봄에 비유한 것)이지만, 봄이 올까 오지 않을까 라는 의미도 중의적으로 쓰였다.
정확히는 1979년 1026 사건 이후, 전두환이 이끄는 신군부에 의해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업 전국확대 조치가 단행되기 전까지의 기간을 뜻한다.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이기에 어떻게 흘러갈지 알고 봤음에도 차오르는 분노는 가라앉히기가 힘들었고, 권력을 등에 업고 본인의 욕심에만 지배당한 채 사리사욕을 챙기려는 모습은 정말이지 사람으로서 할 수 없는 행동이라는 생각이 다시 들었다.
긴 시간 동안 정치와 권력이 일반(?) 시민들에게 다가선 그림을 다시금 볼 수 있는 영화였다.
과거의 행적들이 있기에 현재의 우리는 더 많은 노력을 하며 많은 것들을 바꿔나가야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함께 하게 만든 영화였다.
안타까운 우리의 역사에 대해 생생하게 확인해 볼 수 있는 관객수 1,312만의 서울의 봄.
영화관 상영은 종료되었으니 OTT플랫폼을 이용해서 꼭 보시길 적극적으로 추천하는 바이다.
댓글